■ 진행 : 강진원 앵커, 박상연 앵커 <br />■ 출연 : 왕선택 / 여시재 정책위원, 김은경 / 현지 리포터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불복 움직임이 개인의 일탈을 넘어서 조직적인 저항으로 들어선 듯합니다. 트럼프 대통령의 속내는 무엇일까요? 전문가와 함께 분석해 보겠습니다.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나오셨습니다. <br /> <br />위원님,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들도 잇따라서 대선 불복에 힘을 싣는 모양새인데 어떤 의도가 담겼다고 볼 수 있겠습니까? <br /> <br />[왕선택] <br />아무래도 트럼프 대통령이 불복에 대한 의지를 강하게 피력하고 있고 이런 부분에 대해서 부통령이라든가 국무장관이라든가 이런 분들도 도리 없다, 일정 기간 동안은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에 동조를 하고 협력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을 수 없다, 이런 생각을 하는 것 같고요. <br /> <br />무엇보다도 미국의 대통령 선거의 특성상 절차법적인, 행정적인 절차는 12월까지 이어지게 되어 있습니다. 그 안에는 사실은 형식적으로 보면 절차가 끝나지 않고 진행되는 상황인 거예요. <br /> <br />그런데도 불구하고 그동안 우리가 미국 대선을 보면 선거하고 나서 바로 다음 날이면 다 결정이 되고 승복 연설하고 승자 연설을 하고 했는데. 지금 안 되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불복하기 때문인데 지금까지 모든 대통령 선거에서는 패배한 쪽에서 하루 만에 승복을 했던 것이죠. <br /> <br />그런데 이번에는 처음으로 불복을 하는 상황이 발생을 했고 불복하는 사람이 현직 대통령이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을 했는데 측근들의 입장에서 본다면 자기들이 모시는 주군이 결정을 했고 같이 가자고 하니 도리가 없다, 같이 갈 수밖에 없다, 이런 입장이 있다고 봐야 되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위원님, 특히 조금 전 그래픽 다시 한 번 보여주시겠습니까? 주요 측근 인사들 발언인데 저는 주목해서 본 게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발언이 특히 눈에 띄더라고요. 트럼프 행정부 2기로의 순조로운 전환이 있을 것이다. 2기라는 게 결국은 재선을 의미하는 얘기이지 않습니까? <br /> <br />[왕선택] <br />그렇습니다. 이런 것들은 대체적으로 봐서 지금 트럼프 대통령을 둘러싸고 있는 정치적, 행정적인 조직들이 있지 않습니까? 기본적으로 행정부, 내각의 장관들, 차관들, 기타 알려지지 않은 지지자들이 많은데 대체적으로 혹시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1111151853944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